혹시 '경계성 지능'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제 이전글을 보신분들은 다 아시라라 봅니다. 안보신 분들은 글 하단에 링크해놨으니 먼저보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오늘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쉽게 알아차리기 힘든 '경계성 지능'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려고 합니다. 이들에 대한 오해를 풀고, 올바르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경계성 지능장애, 얼마나 많을까요?
놀랍게도, 경계성 지능은 전체 인구의 약 10~14%를 차지할 정도로 흔합니다. 이는 10명 중 1~2명은 경계선 지능에 해당할 수 있다는 의미죠. 하지만 대부분의 경계성 지능인들은 겉으로 드러나는 특징이 없어, 주변 사람들은 물론 본인조차도 자신이 경계선 지능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 경계성 지능장애는 알아차리기 어려울까요?
경계선 지능이 쉽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상생활의 어려움 부재: 대부분의 경계선 지능인들은 일상생활을 무리 없이 수행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일반인과 전혀 다를 바가 없죠.
- 미묘한 어려움: 학습, 인지, 사회성 등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이는 '조금 느린', '약간 서툰' 정도로만 인식될 수 있습니다.
- 숨겨진 어려움: 주변의 도움(가족, 친구 등)으로 어려움이 가려지거나, 본인 스스로 힘든 부분을 숨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 진단 기준의 모호성: 지적장애와 정상의 '경계'에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검사를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경계성 지능장애에 대한 흔한 오해
- 오해 1: 경계성 지능은 지적 장애의 일종이다?
- 진실: 경계선 지능은 지적 장애가 아닙니다. 지능 지수(IQ)가 70~84 사이로, 지적 장애(IQ 70 이하)와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 오해 2: 경계성 지능은 학습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
- 진실: 학습 속도가 느리고 복잡한 내용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개별화된 교육과 반복 학습을 통해 충분히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오해 3: 경계성 지능은 사회성이 부족하다?
- 진실: 사회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지만, 사회성 훈련을 통해 충분히 개선될 수 있습니다. 모든 경계선 지능인이 사회성이 부족한 것은 아닙니다.
- 오해 4: 경계성 지능은 평생 개선되지 않는다?
- 진실: 경계선 지능 자체는 변하지 않지만, 꾸준한 교육, 훈련, 상담 등을 통해 인지, 학습, 사회 적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오해 5: 경계성 지능인은 정상적인 생활이 불가능하다?
- 진실: 적절한 지원과 교육을 받으면 대부분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며, 자신의 강점을 살려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습니다.
경계성 지능장애, 어떻게 이해하고 도울 수 있을까요?
- 이해와 존중: 경계선 지능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이들을 존중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 기다림: 새로운 것을 배우고 익히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음을 이해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세요.
- 격려와 지지: 긍정적인 피드백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심어주고, 도전을 지지해주세요.
- 구체적인 의사소통: 추상적이거나 복잡한 표현보다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표현을 사용하세요.
- 개별화된 지원: 개인의 특성과 능력에 맞는 맞춤형 교육, 훈련, 상담 등을 제공해주세요.
경계성 지능, 일반인과 다르지 않아요
경계선 지능을 가진 사람들은 학습 속도가 조금 느리고, 새로운 정보를 이해하는 데 시간이 더 걸릴 수 있지만, 이는 결코 그들이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이들은 우리와 똑같이 생각하고, 느끼고, 꿈을 꾸는 소중한 사람들입니다. 경계선 지능인도 꾸준한 노력과 주위에서의 지원이 있다면 얼마든지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합니다.
마무리하며...
경계성 지능은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우리 자신이 그러할 수도 있구요.
이들이 우리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따뜻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경계선 지능 장애, 느리지만 괜찮아: 경계성 지능의 뜻과 특징,원인과 진단
혹시 '경계선 지능' 혹은 '경계성 지능'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 있나요? 아마 많은 분들에게는 생소한 단어일 텐데요. 오늘은 조금 낯설지만 우리 주변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는, 경계선 지능을
investor-1.tistory.com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화혈색소, 혈당 관리의 핵심지표! 당화혈색소 정상 수치와 수치표 완벽분석 (0) | 2025.02.15 |
---|---|
다발성 예기 손상, 우리 몸 곳곳에 숨겨진 상처: 뜻,원인,증상,치료,그리고 회복이야기 (0) | 2025.02.14 |
경계선 지능 장애, 느리지만 괜찮아: 경계성 지능의 뜻과 특징,원인과 진단 (0) | 2025.02.12 |
협심증, "가슴이 보내는 경고" 에 귀 기울이기! 협심증 전조증상 완벽정리 (0) | 2025.02.08 |
심근경색, 골든타임을 사수하라! 심근경색 전조증상, 절대놓치지 마세요. (0) | 2025.02.07 |